목록전체 글 (98)
CodeClover
큐 생성 방법 ( 3 ) LinkedList 사용한 큐 생성 ( => BFS 구현시 주로 사용 )Queue queue = new LinkedList();요소의 삽입과 삭제가 빠르다는 장점 ( O(1) ) 요소 접근이 느리다는 단점 ( O(n) ) ex . bfs 구현 ( 큐의 요소를 빈번하게 추가하고 제거하기 때문에 요소의 삽입과 삭제가 빠른 LinkedList 를 주로 사용한다. ) PriorityQueue 사용한 큐 생성 Queue queue = new PriorityQueue();요소가 우선순위에 따라서 정렬되어 처리된다는 장점 삽입과 삭제가 비교적 느리다는 단점 ex .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처럼 우선순위가 중요한 경우 ArrayDeque 사용한 큐 생성Queue queue = new ArrayDe.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844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programmers.co.kr BFS를 이용하는 문제import java.util.*; class Solution { //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배열 (동, 남, 서, 북) int[] dx = {1, 0, -1, 0}; int[] dy = {0, 1, 0, -1}; public int solution(int[][] maps) { int answer = 0; // 방문 여부 및 최단 거리를 저장하는 배열 int[][] visited ..
하이퍼캐시란 ? 고성능 캐시 시스템 또는 기술을 의미한다. 주로 데이터베이스, 웹 애플리케이션, 분산 시스템에서 사용된다. 조금 더 쉽게 정리해보면,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저장해 두는 기술이다. 이를 통해서 데이테베이스나 서버에 매번 요청하지 않아도 빠르게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. 특히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. ( 비유해보면 : 하이퍼캐시는 도서관에서 자주 대출되는 책들을 따로 빼놓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책장에 두는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. 사람들이 자주 찾는 책을 매번 서고에서 찾는 대신에 인기 있는 책들을 따로 모아둬서 빠르게 찾고 빌릴수 있도록 하는것을 말한다. 즉, 데이터접근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..
웹 동기화와 마이그레이션에 대해서 정리하는 과정에서 두개 방식이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두 방식의 차이점이 어떤 부분인지 궁금해졌다. 그래서 두 과정에 대표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. 웹 동기화 : 여러 시스템 / 데이터베이스 간 데이터 일관성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 주요 특징 ) 주기성, 양방향 데이터 흐름, 지속성 DB 아미그레이션: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업그레이드 하거나 교체, 구조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 주요 특징 ) 일회성 작업, 구조적 변경, 데이터 이동.. 웹 동기화 & DB 마이그레이션의 차이점[ 웹 동기화 ] 지속적인 작업 (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 ) 양방향 데이터 흐름[ DB 마이그레이션 ] DB 시스템이나 구조 변경을 위함이라서 일회성..

파티션 ? DBMS에 너무 많은 테이블 존재하면 용량,성능 부분에서 많은 이슈가 발생한다.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파티셔닝 기법이 있다.( 파티셔닝 기법 -> 테이블을 파티션이라는 작은 단위(파티션)로 나눈다. ) 파티션의 개념 : element 를 각각의 작은 entity로 분할한다. 즉, table,index를 파티션이라는 작은단위로 물리적 분할 처리 ( 물리적 분할해도 DB에 접근하는 application 인식하지 못한다. ) 파티셔닝의 목적 1. 성능적 측면2. 가용성3. 관리의 용이성 파티셔닝 장점 - 성능적 측면에서 파티션 단위 조회 및 DML 수행- 성능적 측면에서 데이터 검색시 작은 단위로 나뉘어 있으니까 필요한 부분만 탐색 가능 =>즉, full scan 처리 -> ..
IF 문 DECODE 함수 단점 ( - ) : 함수조건이 많아지면 가독성이 떨어진다. (오라클 SQL에서만 사용가능한 비표준 함수) CASE 표현식 #기본 표현식CASE WHEN {조건식} THEN {리턴값}, WHEN {조건식} THEN {리턴값}, ELSE {조건식} END 그외 사용 가능한 예제 조건들.. # else 생략시 만족하는 조건이 없으면 null 리턴한다. # 비교연산자 , 범위 연산자 사용 가능 # where절에 사용 가능 # 오라클 내장함수 조건으로 사용 가능 ex ) CASE WHEN TO_CHAR(hiredate = 'q') = '1' 이런식으로... # then절에 case 중첩으로 추가 연산가능 - 기억해야 할 같지 않음, 다른다는 의미를 갖는 연산자 ? : != , ^= , ..